ESG경영

2025-08-27 10:44 (24) (0)
프로젝트 및 방법론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정의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 E (환경): 탄소배출, 에너지 효율, 자원 순환, 오염 관리 등

  • S (사회): 노동권, 인권, 다양성, 지역사회 기여, 공급망 관리 등

  • G (지배구조): 이사회 독립성,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 윤리경영, 내부 통제 등
    을 의미합니다.

  • 핵심: 단기 재무성과만이 아니라 기업이 사회·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틀입니다.


추진 시기: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적용 분야:

금융,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됩니다.


핵심 내용 및 구성:

ESG경영은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합니다. 환경 측면에서는 탄소 배출 감소 및 자원 효율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노동권 보호와 지역 사회 기여를 중시합니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투명한 경영과 윤리적 의사 결정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자 및 소비자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성과 및 영향:

ESG경영을 도입한 기업은 장기적인 재무 성과 개선, 리스크 관리 강화,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의 긍정적 효과를 경험합니다.


관련 사례:

유럽의 여러 대기업들이 ESG경영을 도입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참고 정보:

ESG경영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글로벌 지속 가능 경영 보고서 및 관련 학술 논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용어 : 

지속가능경영




기업에서 ESG를 신경 써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


기업이 ESG를 신경 써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착한 경영” 때문이 아니라, 매우 현실적인 이해관계와 직결되기 때문. 


1. 투자와 자본 조달 측면

2. 규제와 법적 리스크 관리

  • EU(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미국(SEC 기후 공시 규정), 한국(2026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상장사 ESG 공시 의무화) 등 규제가 확대 중.

  • 규제 미준수 시 과징금, 수출 차질, 평판 손상으로 이어짐.

3. 고객 및 시장 요구

  • 소비자들은 친환경·윤리적 소비를 중시하고 있으며, 특히 MZ세대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침.

  • B2B 거래에서도 글로벌 대기업이 공급망에 ESG 요건을 부과(예: 삼성·애플의 협력사 평가 기준).

  • ESG 미흡 시 납품 기회 상실 위험.

4. 리스크 최소화와 지속가능성

  • 환경 사고(오염, 온실가스), 사회적 갈등(노동, 인권), 지배구조 문제(횡령, 배임)는 기업 가치에 직접적 타격을 줌.

  • ESG 경영은 이런 리스크를 조기에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장치.

5. 인재 확보 및 조직 경쟁력

  • ESG 경영을 강조하는 기업은 사회적 책임과 가치를 중시하는 우수 인재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옴.

  • 내부 직원의 자부심과 몰입도를 높여 장기적으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줌.





브룬틀란 보고서와 who cares wins


브룬틀란 보고서 (Brundtland Report, 1987)

정식 명칭: 「Our Common Future (우리 공동의 미래)」
발표 주체: UN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 위원장 그로 할렘 브룬틀란(노르웨이 前 총리)

  • 핵심 내용

    •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 최초 제시

    • 정의: “미래 세대가 필요를 충족할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는 발전”

    • 경제 성장, 사회적 형평, 환경 보호를 동등하게 고려하는 발전 모델 필요성 강조

  • 영향

    • 국제사회가 지속가능발전을 글로벌 어젠다로 채택하는 계기

    • 1992년 리우환경회의(지구정상회의)와 「의제 21(Agenda 21)」 채택의 기반

    • 이후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이어지는 사상적 토대 마련


Who Cares Wins 보고서 (2004)

발표 주체: UN Global Compact, 금융기관 주도 (골드만삭스, UBS 등 참여)

  • 핵심 내용

    •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도입·확산

    • 기업의 장기적 가치 창출은 재무성과뿐 아니라 ESG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강조

    •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 ESG를 통합할 것을 금융기관에 권고

  • 영향

    • ESG 투자(Responsible Investment, 지속가능 금융)의 전환점

    • 2006년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 출범으로 이어짐

    •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ESG를 표준화된 투자 기준으로 채택하는 계기 제공

정리

  • 브룬틀란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철학과 목표를 정립했고,

  • Who Cares Wins는 이를 기업과 투자 세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ESG”라는 실질적 평가 틀을 확산시켰습니다.
    → 하나는 개념적 토대(브룬틀란), 다른 하나는 실천적 도구(Who Cares Wins) 역할을 하며 오늘날 ESG·지속가능경영의 두 축이 되었습니다.


#ESG #지속가능경영 #환경사회지배구조 #브룬틀란보고서 #whocareswins

revision 정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