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김환기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추상미술의 선구자이다.
설명:
1913년 전남 신안 출생. 일본 도쿄미술학교를 거쳐 프랑스와 뉴욕에서 활동했으며, 한국 전통 회화와 서구 추상미술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점화(點畵) 양식을 전개하며, 한국적 서정성을 추상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뉴욕 시기 후반의 모노크롬 점화는 그의 예술 세계의 절정을 보여준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로 대표되는 서정성과 동양적 명상성이 국제 무대에서도 주목받았다.
생몰년:
1913년 출생 – 1974년 사망
활동 시기와 활동 배경:
해방 이후 한국 현대미술 형성기, 1950~1970년대 국제 미술계와 교류
소속:
한국미술협회, 국전 심사위원 등
대표 업적:
‘점화’ 시리즈, 뉴욕 시기 단색화, 한국 추상미술 기반 정립
사상 및 철학:
동양적 서정성, 우주적 사고와 명상성의 회화적 전개
이칭:
Kim Whanki, 환기, 한국 추상의 아버지
참고 정보:
환기미술관
출처:
『김환기 전집』, 환기미술관 자료,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해설
#김환기 #추상미술 #점화 #환기미술관 #한국현대미술 #단색화 #모노크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