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36년에 태어나 1584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성리학을 토대로 사상을 펼치며 관직에 몸담았던 조선 중기의 학자·문관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중기인 16세기 선조 대에 활동한 그는 중앙 관료와 유학자로서 왜란을 대비한 국방 강화와 사회 개혁을 강조하며 조정과 지방에서 학문·정치를 겸하였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기반으로 경(敬)과 실천을 중시하며 백성의 교화와 국가 운영의 이상을 구현하고자 한 실용적 정치·교육 사상을 펼쳤다.
이칭:
율곡이이 李栗 栗 이율곡 Yi I 숙헌 문성 율곡 李 석담 Yi Yulgok
참고정보:
한국문학번역원(LTI) https://library.ltikorea.or.kr/writer/200312 (국역)율곡집 (솔출판사) 1997 (신판)격몽요결 (乙酉文化社) 1998 성학집요 (교원) 2011
생애: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인 이이는 1536년에 태어나 1584년까지 생을 마감하였다. 험난한 조선시대를 살아가며 그는 학문과 정치 두 분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명석한 두뇌로 주목받았던 이이는 유교 경전에 심취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고 젊은 나이에 과거에 급제하여 정치에 입문했다. 그의 통찰력은 국정 운영에도 빛을 발하였는데 특히 사회 개혁과 군사 체제 정비를 통해 조선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의 사상은 조선의 국가 정책과 백성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가 남긴 저작들은 후대 학자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했다. 현실에 기반한 실용주의를 중요시했던 그는 다양한 정치적 흐름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고 이로 인해 많은 난관을 겪기도 했다. 이이의 생애는 학문과 정치적 이상을 조화롭게 이룬 대표적 사례로 오늘날에도 그의 지혜와 사상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대표업적:
성리학을 중심으로 경(敬)과 실천을 강조하며 백성의 교화와 국가 운영에 기여한 조선 중기 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