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703년에 태어나 1778년에 세상을 떠남
개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로서 1703년에 태어나 1778년에 별세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정확한 생몰 연대는 전하지 않으나 조선 후기 주자학이 학문적 주류를 이루던 시기에 활동하며 성균관을 중심으로 경서 해석과 유교 학술의 정통성을 계승하고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주자 성리학을 바탕으로 인성과 천리의 조화를 탐구하며 경전을 체계적으로 주석하여 동아시아 유학 전통의 심화에 기여하였다.
이칭:
李宜哲 원명 原明 Lee Euichul 문암 文菴
참고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標點校勘) 주자어류고문해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가상국제전거파일(VIAF) http://viaf.org
생애:
이의철은 조선 시대 중기의 풍요로움과 불안정함이 교차하던 시기에 태어났다. 1703년에 한양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유교 경전에 심취해 학문에 전념했다. 성리학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지방 관리로 시작한 그의 경력은 곧 중앙 정치로 이어졌다. 인의철은 맡은 바 직책에서 청렴하고 공정한 결정을 내렸으며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농업 정책을 개혁하고 세금을 합리적으로 조정했다. 문화적 부흥에도 큰 관심을 기울여 문인들과 교류하며 한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1740년대에는 국가 혼란을 잠재우기 위한 기구 설립을 주장하여 사회적 개혁의 기틀을 마련했다. 말년에는 은퇴하여 고향에 돌아가 후학을 양성했다. 1778년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많은 이들이 그의 인품과 업적을 기리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
대표업적:
성균관을 중심으로 경서 해석과 유교 학술의 정통성을 이어감 주자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인성과 천리의 조화를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