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894년 출생 1970년 사망
개요:
국어의 보급과 발전을 위해 힘쓰며 교육 현장과 학문 분야에서 활약한 국어 운동가이자 교육자 학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국어학 연구와 한글 보급 운동을 펼쳤으며 울산 출신으로서 민족문화 수호에 헌신하였다.
사상 및 철학:
한글의 우수성과 자주성을 강조하며 국어학 발전과 국어 교육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자 했다.
이칭:
외솔 崔鉉培
참고정보:
다음백과 http://100.daum.net 現代韓國隨想錄 (金星出版社) 1986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h.naver.com 중앙일보 인물검색 http://people.joins.com
생애:
최현배는 1894년 조선에서 태어났다. 그의 삶은 격동의 근대 조선과 일제 강점기에 이루어졌다. 젊은 시절부터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은 그는 선진 교육제도를 받고자 유학을 결심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의 경험은 그의 시야를 넓혔고 조선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일생을 바치기로 결심하게 만들었다. 최현배는 귀국 후 조선어 교육에 헌신하며 여러 학교에서 국어 교사로 재직하였다. 특히 그는 한국어 문법 정립과 어문 규범 제정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해방 후 대한민국의 국문학 발전에 이바지하며 국어의 표준화와 교육 체계 수립에 선구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1970년 타계할 때까지도 언어와 문화 보존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후학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표업적:
국어의 보급과 발전에 기여하고 한글 보급 운동을 전개한 운동가이자 교육자로서 민족문화 수호에 헌신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