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12년에 태어나 1571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조선 중기에 활동한 문관이자 유학자로 학문과 관직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이정은 17세기 조선 인조 연간에 학자로 활동하며 정치적 혼란 속에서 성리학 명분을 지키고 후학 양성에 힘쓴 인물이다.
사상 및 철학:
그는 주자학에 기반한 성리학과 도덕정치를 강조하며 올바른 군신 관계와 사회 질서를 위한 정치학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칭:
剛而 강이 구암 龜巖 李楨
참고정보:
龜巖先生集 (龜巖書院) 崇禎14(164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뉴스사천 https://www.news4000.com
생애:
조선 중기의 문신 이정은 1512년 한반도의 정치적 변동이 심화되던 시기에 태어났다. 그의 젊은 시절은 중종의 치세와 맞물려 있었고 성리학이 사회의 주된 이념으로 자리잡아 가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성장했다. 이정은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1535년에 과거에 급제해 관직에 올랐다. 그는 자기주장이 강하고 청렴결백한 인물로 부정부패가 만연하던 조선의 정치 무대에서 개혁의 상징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이정은 효과적인 행정 개혁을 통해 농민들의 생활을 개선하고 조세 제도를 합리화하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혁신적인 그의 정치 노선은 보수 세력의 반발을 사며 결국 불운한 최후를 맞이했다. 1571년에 그는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사후에도 청렴함과 개혁을 향한 의지는 후세에 귀감이 되었다.
대표업적:
조선 중기의 유학자로 활약해 성리학과 도덕정치를 강조하며 올바른 군신 관계와 사회 질서를 위한 정치학적 논의를 전개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