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해사고 대응

2025-08-06 18:45 (0) (0)
법규 및 표준

정의:

침해사고 대응은 정보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보안 침해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설명:

침해사고 대응은 정보 보안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조직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이는 침해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영을 신속히 복구하며,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포함합니다. 침해사고 대응은 일반적으로 탐지, 분석, 격리, 완화, 복구, 보고 및 사후 분석의 단계를 거칩니다. 탐지 단계에서는 침해사고의 징후를 식별하고, 분석 단계에서는 사고의 원인과 영향을 평가합니다. 격리 및 완화 단계에서는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복구 단계에서는 시스템을 정상 상태로 복원하며, 보고 단계에서는 사고의 세부 사항을 문서화하여 관련 부서나 외부 기관에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후 분석 단계에서는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향후 유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합니다. 이러한 대응 절차는 조직의 보안 정책과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인력의 전문성과 협업이 요구됩니다.


적용 사례 또는 판례:

대형 금융 기관에서 발생한 데이터 유출 사고에 대해 신속한 침해사고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고객 신뢰를 회복한 사례가 있습니다.


관련 법령/조항: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 보호법 등이 관련됩니다.


관련 개념:

정보 보안, 위협 탐지, 사고 대응 계획, 보안 운영 센터(SOC)


소관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이칭(alias):

사고 대응, 보안 사고 대응


참고 문헌: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가이드라인\", \"침해사고 대응 매뉴얼\" 등


표준명:

정보 보안 사고 대응 표준


표준 번호:

ISO/IEC 27035


제정 기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 유형:

국제 표준


제정 및 개정 연도:

2011년 제정, 2016년 개정


정의 및 목적:

정보 보안 사고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절차와 지침을 제공합니다.


적용 범위:

모든 유형의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보안 사고에 적용됩니다.


주요 내용 및 구성:

사고 탐지 및 보고, 사고 분석 및 평가, 사고 대응 및 복구, 사고 후 활동 등의 절차로 구성됩니다.


이행 및 인증:

조직의 보안 관리 체계에 통합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칭(alias):

정보 보안 사고 관리


참고 정보:

ISO/IEC 27035 표준 문서, 국제 표준 관련 자료

#침해사고대응 #정보보안전략 #사고대응계획 #보안운영센터 #ISO27035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