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증

2025-08-06 18:44 (1) (0)
인물

생몰년:

1624-1701


개요:

김수증(1624년 ~ 1701년)은 조선 시대에 활동한 문관이자 성리학자이며 국가의 문신으로서 관직을 맡아 학문과 정치를 병행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17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문신으로 서인 계열에서 관직을 지내며 치열한 붕당 정치 속에서도 학문과 예술을 병행했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근간으로 충절과 청렴을 강조했으며 시·서·화에 뛰어난 문인으로 인격 수양과 예술적 조화를 추구했다.


이칭:

金壽增 연지 延之 谷雲 곡운


참고정보:

포천암각문언해 (포천문인협회 ) 2012


생애:

김수증은 1624년에 태어나 1701년에 세상을 떠난 인물로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자 학자였다. 그는 일찍부터 문무 양면에 두각을 나타내어 어린 시절부터 주위의 기대를 받았다. 당시 조선은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등의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고 있었고 김수증은 이러한 어려운 시기 속에서 실질적이고 변화주도적인 지도력을 발휘하여 사회 안정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그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오른 후에는 조선의 중추적 위치에서 국가의 안위와 민생 안정에 힘썼다. 그의 정치의식과 결단력은 무신란과 삼복제 등의 사건에서 빛을 발하여 조선의 사회 질서를 바로 잡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학문에도 매진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는데 그의 학풍은 실사구시적이며 조화로운 사회를 강조하였다. 그의 사후 김수증은 민본을 중시하는 실학의 선구자로 기억되었다.


대표업적:

성리학 기반의 충절과 청렴 강조 시·서·화에 뛰어난 뛰어난 문인으로서 정치와 예술을 병행한 점

#김수증 #문신 #성리학자 #조선시대 #문인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