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PRIME사업은 대학의 구조개혁을 통해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추진한 정책이다.
설명:
PRIME사업(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은 2016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정책으로, 대학의 학사 구조를 산업계의 요구에 맞게 개편하여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특히 공과대학과 이공계열 학과의 정원을 확대하고, 인문사회계열의 정원을 조정하여 취업률을 높이고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PRIME사업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사 구조를 개편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대학은 교육과정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업은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졸업 후 즉시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갖추도록 돕는다. 이러한 구조개혁은 장기적으로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용례:
A대학은 PRIME사업의 지원을 받아 공과대학의 정원을 늘리고,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취업률, 대학 경쟁력, 산업 수요, 학사 구조 개편
적용 분야:
고등교육, 인재 양성, 산업계 인력 수급
관련 기관 또는 규제:
대한민국 교육부, 대학, 산업체
이칭(alias):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사업
출처:
대한민국 교육부 발표 자료, 관련 학술 논문 및 정책 보고서
#PRIME사업 #산업맞춤교육 #대학구조개혁 #인재양성정책 #취업률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