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클라우드인프라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컴퓨팅 자원과 서비스를 의미하며,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합니다.
설명:
클라우드인프라는 물리적 하드웨어를 소유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인프라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인프라는 크게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구분되며, 각각의 모델은 서비스의 수준과 관리 책임이 다릅니다. IaaS는 가장 기본적인 수준의 서비스로, 사용자가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설치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PaaS는 개발 환경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하며, SaaS는 완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설치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 클라우드인프라는 기업의 IT 비용 절감, 유연한 자원 관리, 빠른 배포 및 확장성 등의 장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용례:
기업들은 클라우드인프라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소를 확장하거나, 글로벌 서비스를 빠르게 배포합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가상화, IaaS, PaaS, Saa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적용 분야:
IT, 금융, 의료, 교육,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관련 기관 또는 규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칭(alias):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및 관련 기술 서적 및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