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376년~1445년
개요:
조선 초기의 무장으로 재상에 올라 국정을 보좌했으며 평안도절제사를 지내며 군사 업무를 담당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전기 창원 출신의 무장으로서 왜구 토벌과 북방 방어에 앞장서며 국가 기반이 자리잡히던 시기에 군사적 공을 세웠다.
사상 및 철학:
충성과 실용적 전략을 중시해 국토 방위와 백성 보호를 우선시하는 군사관을 펼쳤다.
이칭:
여화 정렬 Choei Yundeok 백수 임곡 Choi Yundeok
참고정보:
다음백과 https://100.daum.net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
생애:
최윤덕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인물로 1376년에 태어나 1445년에 세상을 떠났다. 태어나자마자 고려 사회는 외세의 침입과 내란으로 혼란스러웠으나 그는 학문과 군사에 두루 능하여 조선 왕조가 건립되던 시기 새로운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젊은 시절부터 청운의 뜻을 품고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며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국가의 기틀을 바로잡고 조선 초기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특히 그는 명나라와의 외교에서 두터운 신뢰를 받았으며 국경을 안정시키는 데 앞장섰다. 또한 최윤덕은 제자들을 양성하며 학문과 인격 수양에도 힘썼고 후손들에게도 그 정신을 물려주었다. 조선 왕조 초기 그의 헌신은 이후 수 세기에 걸쳐 번영의 기초가 되었으며 백성들은 그를 '나라의 중추'라 칭송하며 그를 기렸다.
대표업적:
왜구 토벌과 북방 방어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조선 초기 국가 안보를 도왔고 재상으로 재능을 발휘하며 군사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이 최윤덕의 대표업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