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43년에 태어나 1620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조선 중기에 활동한 성리학자로 문관으로서 정치와 학문 양면에서 두각을 드러낸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중기 성주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로 사림이 정치와 학문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던 시대에 학문적·교육적 역할을 수행했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바탕으로 예학과 실천 윤리를 중시하며 심성 수양을 통해 사회적 도덕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칭:
문목 도가 Jeng Gu Chung Gu Cheong Gu 한강 Jung Gu
참고정보:
두산백과
생애:
정구는 1543년 조선 중기의 혼란스런 시기에 태어나 평생을 학문과 민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바친 학자였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유교 경전과 성리학을 깊이 탐구하며 조선의 지식계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정구는 쇠퇴해가는 조선을 개혁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거대한 교육 운동을 제창했다. 그의 가르침은 민중 속에 널리 퍼져 국난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와 힘을 제공했고 특히 서민들을 위한 무료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지식의 문턱을 낮추었다. 말년에 이르러서는 '평등한 학문'을 기치로 삼아 모든 계층이 학문을 통해 자신과 나라를 일으킬 수 있음을 몸소 증명하며 한평생을 국가와 민족에 헌신한 참된 선비의 삶을 완성했다. 정구의 사상과 철학은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쳐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중요한 기틀을 제공했다.
대표업적:
조선 중기 성주에서 활동한 성리학자 정구는 성리학을 토대로 예학과 실천 윤리를 중시하며 사회적 도덕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성리학자 #조선중기 #성주 #예학 #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