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명
자유학년제
제정 시기 및 배경
자유학년제는 2016년부터 대한민국 교육부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제도는 학생들이 중학교 1학년 동안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주요 내용 및 조치사항
자유학년제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대신 프로젝트 수업, 체험 활동,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학습을 진행한다.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성적표 대신 성취도에 대한 서술형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탐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행 주체
자유학년제는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관하고, 각급 학교가 이를 시행하는 주체로 활동한다.
적용 대상 및 범위
대한민국 내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전국의 모든 중학교가 해당 제도를 적용받는다.
기대 효과 또는 목적
자유학년제의 주요 기대 효과는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자신감을 키우고,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여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시험 부담을 줄임으로써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비판 및 한계점
자유학년제는 학업 성취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일부 교육 현장에서 준비 부족으로 인해 시행 초기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성취도 평가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이칭(alias)
출처
#자유학년제 #중학교 #창의적학습 #교육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