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전형

2025-08-08 10:00 (283) (0)
법규 및 표준

정책명

학생부종합전형


제정 시기 및 배경

학생부종합전형은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된 대학 입시 제도로, 학생의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교생활 경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이는 기존의 수능 위주의 입시 체제에서 벗어나 학생의 잠재력과 인성을 평가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및 조치사항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의 서류를 바탕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학생을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리더십, 봉사활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합니다.


시행 주체

학생부종합전형은 주로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시행하며, 정부의 교육 정책 방향에 따라 관련 지침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적용 대상 및 범위

이 전형은 대한민국의 대학교 입시에서 활용되며,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 또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대학별로 적용되는 기준과 절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기대 효과 또는 목적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생의 다양한 능력과 잠재력을 발굴하여 대학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단순한 학업 성취도 외에 학생의 전인적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판 및 한계점

이 전형은 평가의 주관성이 높고, 입시 결과의 예측 가능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서류 준비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며, 학교 간 교육 환경의 차이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칭(alias)

학종, 학종전형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 입시 관련 자료

#대학입시 #학생평가 #학교생활기록부 #교육정책 #전인교육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