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악성코드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 손상을 주거나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설명:
악성코드는 주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어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정보를 탈취하는 등 다양한 악의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바이러스, 웜, 트로이 목마, 랜섬웨어 등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스템에 침투하고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는 다른 프로그램에 자신을 복제하여 확산시키고, 웜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체적으로 확산합니다. 트로이 목마는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사용자를 속이고,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하여 금전을 요구합니다. 악성코드는 개인 정보 유출, 시스템 성능 저하, 데이터 손실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기업 및 개인에게 큰 경제적 손실을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백신 소프트웨어 사용, 정기적인 시스템 업데이트, 의심스러운 이메일 및 링크 피하기 등 다양한 보안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용 사례 또는 판례:
2017년 발생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은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 시스템을 마비시켰습니다.
관련 법령/조항: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8조.
관련 개념:
컴퓨터 바이러스, 랜섬웨어, 사이버 보안.
소관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칭(alias):
멀웨어(Malware).
참고 문헌:
\"악성코드 분석 및 대응\",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MalwareThreat #사이버보안 #랜섬웨어공격 #정보보호 #악성코드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