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386–1445
개요:
박흥거는 1386년에 태어나 1445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전기의 학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의 학자로서 한문학과 고전문학이 학술과 교양의 중심이던 시대에 경학과 문장 연구에 전념하였다.
사상 및 철학:
유교적 교양을 바탕으로 도덕 수양과 문학적 정조를 조화롭게 추구하며 전통 한문학의 가치를 계승·발전시키는 데 힘썼다.
이칭:
Park Heunggeo 이요당 二樂
참고정보:
(國譯) 二樂堂遺稿 (密陽朴氏 慶州公派 宗中) 2013
생애:
박흥거(1386-1445)는 고려 말 조선 초의 격동기를 살아가며 나라의 변혁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함을 나타내어 과거에 급제 공직에 입문하였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의 신임을 받으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그는 특히 조선 태종 시기에 경국대전을 편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고 국가 체제를 재정비하는 작업에 앞장섰다. 한편 그는 교육제도 개선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 성균관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힘썼다. 또한 지방 행정을 개혁하여 민생 안정을 도모하고 지역 간 화합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그의 묘비에는 '백성을 사랑하고 학문을 존중한 자'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어 후세에까지 그 명성이 전해졌다. 박흥거는 조국과 백성을 위한 헌신으로 조선 초기의 안정기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그가 남긴 업적은 세대를 넘어 널리 존경받고 있다.
대표업적:
한문학과 고전문학에 대한 연구로 조선 후기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교적 가르침과 도덕적 가르침을 통해 한문학의 가치를 높이는데 공헌했다.
#박흥거 #유교적교양 #한문학연구 #도덕수양 #문학적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