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기업의 회계처리 및 재무제표가 법적 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를 외부 감사인이 검토하고 확인하는 절차이다.
설명:
외부 감사인은 기업의 재무보고가 일반적으로 공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회계의 오류나 부정 가능성을 검토한다. 주식회사, 공공기관, 일정 규모 이상의 비영리법인은 외부 회계감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며, 회계투명성과 투자자 보호,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필수적이다.
적용 사례 또는 판례:
삼바(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논란 사건은 회계감사 적정의견과 분식회계의 경계를 두고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관련 법령/조항: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상법 제415조
관련 개념:
외부감사, 감사보고서, 내부통제
소관 부처: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이칭(異稱):
External Audit, 외부회계검사
참고 문헌:
금융감독원 회계감리 안내자료
출처: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외감법 해설집
#회계감사 #ExternalAudit #재무검토 #감사보고서 #회계투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