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650년~1733년
개요:
박두세는 1650년에 태어나 1733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후기의 문관으로 수필가이자 학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정확한 생몰년은 미상이나 20세기 초 한반도의 사회·정치 변동기 속에서 정치학과 한문학을 탐구하며 학술 활동을 펼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사상 및 철학:
유교 고전을 바탕으로 서구 정치이론을 융합해 현실 정치의 윤리적 기반을 모색했으며 한문학적 표현을 통해 사상의 깊이를 강조하였다.
이칭:
사앙 Bak Du-se
참고정보:
요로원야화기 (박문사) 2010
생애:
박두세는 조선 중기인 1650년에 한양에서 태어나 학문과 예술에 두루 능한 인물로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성리학을 공부하며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병자호란 이후 사회의 혼란 속에서 백성들에게 안정을 주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1675년 과거시험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특히 검소하고 청렴한 성품으로 인정을 받아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농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개혁 정책을 제안 시행하였으며 농업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농민들의 생활이 개선되는 데 이바지하였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학의 발전에 기여하였고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1722년에는 평소 갈고 닦은 예술적 재능으로 서예와 그림에 두각을 나타내어 서화가로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평생 동안 고결한 삶을 실천한 그는 1733년 83세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후세에 이어져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대표업적:
유교 고전과 서구 정치이론 융합을 통해 현실 정치의 윤리적 기반 모색 한문학을 통한 사상의 깊이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