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682년 ~ 1700년
개요:
김숭겸은 17세기 조선에서 활동한 문인이며 1682년에 태어나 1700년에 세상을 떠난 시인이자 작가로 알려져 있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사대부 계층에서 활동한 문인으로 한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시·문을 짓고 학문적 교류에 참여하며 문화적 지평을 넓혔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적 가치관을 근간으로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한 전통적 한문학 정신을 지녔다.
이칭:
군산 觀復庵 金崇謙 君山 관복암
참고정보:
김숭겸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생애:
김숭겸은 1682년 조선의 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학문을 중시하여 어릴 적부터 유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을 받았다. 숭겸은 특히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학업에 매진하였다. 15세가 되던 1697년에 이미 뛰어난 학문적 성취로 주변에서 신동이라 불렸다. 조선 숙종 시대였던 이 시기는 정치적 격변기였으며 붕당 간의 치열한 대립 속에서 많은 청년들이 정치로부터 소외된 상태였다. 그러나 김숭겸은 학문을 무기로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여러 학자와 교류하며 지식의 폭을 넓혔고 자신의 집을 작은 서재로 만들어 동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지식을 전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700년 불의의 병으로 19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그의 잃어버린 잠재력은 주변 이들이 깊이 아쉬워하며 후대에도 기억되었다.
대표업적:
한문학 소양을 바탕으로 시·문 활동 및 성리학적 가치관을 토대로 한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자연과의 조화 강조
#조선시인 #한문학 #성리학 #도덕 #자연과의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