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887년에 태어나 1969년에 별세함
개요:
박노열은 19세기 후반에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한국의 성리학자로 평생을 성리학 연구에 바쳤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성리학이 국가 이념으로 공고해진 시기에 활동하며 지방 사림과 교류해 학문적 영향력을 넓혔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적 근본 원리를 바탕으로 인성 수양과 사회 질서의 조화를 중시했으며 동양 철학의 통합적 시각으로 천인합일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이칭:
朴魯烈zh 이재 易
참고정보:
지역정보포털 http://www.oneclick.or.kr (국역) 이재유고 ([신영사]) 2013
생애:
박노열은 1887년 조선 말기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났다. 격동의 시대를 살며 그는 나라의 독립을 강하게 염원했다. 어릴 적부터 방대한 호기심과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여러 서적을 탐독하였고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과학을 접하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 1910년대 초 귀국 후 '천연과학의 중요성을 알리자'라는 신념 아래 과학교육 운동에 뛰어들었다. 한국 최초의 과학잡지를 창간하여 국민에게 과학지식을 보급하는 데 앞장섰으며 젊은이들에게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박노열은 또한 3.1운동에도 참여하여 독립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펼쳤고 이에 따라 여러 차례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평생을 나라의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과 과학의 발전에 헌신한 그는 1969년 존경 속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업적은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대표업적:
박노열은 성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인성 수양과 사회 질서의 조화를 중시하며 동양 철학의 천인합일 가치를 추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