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LTV(주택담보인정비율)는 주택의 담보가치 대비 대출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금융 지표입니다.
설명:
LTV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대출금이 주택의 담보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의 가치가 1억 원이고, 대출금이 8천만 원이라면 LTV는 80%가 됩니다. LTV는 대출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LTV가 높을수록 대출자는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게 됩니다. 이는 금융기관이 대출을 승인할 때 중요한 고려 요소로 작용합니다. LTV가 높으면 대출자가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금융기관이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일반적으로 LTV가 일정 수준 이하인 대출에 대해 더 낮은 금리를 제공하거나 대출 승인을 쉽게 해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LTV가 낮으면 대출자가 상환을 하지 못하더라도 담보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더 높은 금리를 부과하거나 대출 승인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LTV는 주택 시장의 안정성과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금융 규제 기관은 LTV 비율을 조정하여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방지하거나 경제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용례:
A씨는 1억 원짜리 아파트를 담보로 7천만 원을 대출받아 LTV가 70%입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DTI(총부채상환비율),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적용 분야:
주택담보대출, 부동산 금융, 금융 규제
관련 기관 또는 규제: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주택금융공사
이칭(alias):
주택담보대출비율, Loan-to-Value Ratio
출처: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주택금융공사 보고서 및 금융 관련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