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한 키워드나 태그를 사용하여 정보나 콘텐츠를 분류하고 조직하는 비공식적인 분류 방식이다. 집단 지성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분류 체계이다.
설명 :
'folk'(대중)와 'taxonomy'(분류)의 합성어로, 대중이 만드는 분류법을 의미한다. 웹 2.0 시대에 등장하여 블로그, 소셜 미디어, 사진 공유 사이트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각자의 관점에서 콘텐츠에 태그를 달면서 자연스럽게 분류가 형성되며, 이 태그들은 공동의 의미를 형성하고 정보 검색에 활용된다. 전문가가 정의한 엄격한 분류 체계인 택사노미와 달리, 유연하고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사용자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태그의 일관성이 부족하거나 중복 태그가 많아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용례 :
“플리커(Flickr) 사용자들은 각자 찍은 사진에 폭소노미 방식으로 태그를 달아 다른 사람들이 쉽게 검색하고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
태그 클라우드, 소셜 태깅, 집단 지성,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메타데이터
적용 분야 :
소셜 미디어, 블로그, 사진/동영상 공유 플랫폼, 온라인 커뮤니티, 웹 검색, 이커머스
관련 기관 또는 규제 :
특정 기관에 의해 규제되지 않으며, 사용자 커뮤니티의 자율적인 참여로 형성됨.
이칭(異稱) :
소셜 태깅, 태깅
출처 :
Thomas Vander Wal, Folksonomy, 2004 (용어 최초 사용)
#소셜태깅 #사용자분류 #집단지성 #웹2.0 #메타데이터 #자유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