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811-1890
개요:
김상현은 1811년에 태어나 1890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조선 왕조에서 문관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김상현은 19세기 후반 고종 연간에 활동한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급변하던 시대의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한문 시문과 학술 교류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그는 유교적 학문 전통을 토대로 고전적 한시의 미학을 계승하면서 현실 비판적 시각을 작품에 녹여냈다.
이칭:
노헌 경대
참고정보:
韋菴先生詩錄 (壽泉亭) 高宗 16(187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생애:
김상현은 조선 후기의 복잡한 사회 변화 속에서 태어나 역동적인 삶을 살았다. 1811년 한양에서 태어난 그는 유복한 집안에서 자라며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젊은 시절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에 영향을 받아 그의 개혁 정신이 깃든 한편 새로운 사상과 학문에 대한 호기심도 갖게 되었다. 1830년대에는 실학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농업과 상업의 중요성을 설파하였다. 그의 혁신적인 생각은 당시 전통적인 유학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 그는 각종 서양 과학 서적을 직접 번역하여 지식의 전파에 헌신하였다. 186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 김상현은 온건한 개화파로서 점진적인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1890년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는 지식인으로서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열망을 잃지 않았다.
대표업적:
한문 시문에서 미학적 전통을 이어가며 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창작
#조선후기 #한문학 #비판적시각 #유교전통 #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