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01-1570
개요:
조선 중기 성리학을 대표한 학자로서 후대에 위인으로 추앙되는 역사적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중기인 16세기에 안동을 중심으로 관직 생활과 학문 연구를 병행하며 성리학 발전과 인재 양성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그는 주자학을 바탕으로 인간 내면의 수양과 예악 중심의 사회 질서를 강조한 성리학 사상을 심화·체계화해 한국과 동아시아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칭:
퇴도 경호 도수 李 Toegye 퇴계 이퇴계 Yi Hwang
참고정보:
退溪 李滉 詩選 (평민사) 2007 退溪集 (大洋書積) 1973 陶山記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퇴계철학의 확장과 심화 (이화) 2011 한국문학번역원(LTI) https://library.ltikorea.or.kr/writer/201006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생애:
1501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이황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로 퇴계(退溪)라는 호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20대에 과거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관직 생활이 자신과 맞지 않음을 깨달은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에 전념하였다. 이황은 주자학을 체계적으로 연구 심화하며 조선의 성리학을 정립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그는 12도목과 같은 매체를 통해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 그의 학문적 성취는 '퇴계학'이라 불리며 많은 제자들을 양성했다. 도산서원 건립을 통해 교육기관의 모범을 제시하기도 했다. 1570년 그는 세상을 떠났으나 그의 사상이 한국 유교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여 오늘날까지도 그의 철학은 조선 유학의 근간으로 남아있는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업적:
성리학을 심화·체계화한 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