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상

2025-08-06 18:44 (1) (0)
인물

생몰년:

1637년에 태어나 1708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조선 시대에 활동한 역사적 인물로서 후세에 위인으로 평가된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중·후기에 활동한 그는 유교 예학이 사회 규범으로 중시되던 시대적 환경 속에서 가례 연구와 교육에 힘을 쏟았다.


사상 및 철학:

주자학을 기반으로 한 성리학적 세계관 아래 예(禮)의 실천을 중시하며 동아시아 유교 전통의 학문 체계를 심화하고자 했다.


이칭:

재백 才伯 경퇴재 李天相 景退齋


참고정보:

家禮通解 (新溪先生文集刊行委員會) 1981


생애:

조선 시대의 인물 이천상(1637-1708)은 혼란스러운 정치적 환경 속에서 강직하고 신념 깊은 삶을 살았다. 그는 비교적 어린 나이에 학문에 두각을 나타내어 지역의 사림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이후 성균관에 진학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지고 자연과 인간 사회의 조화를 꾀하는 철학적 사상에 매료되었다. 17세기 후반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정치적 혼란에 빠진 조선 사회에서 이천상은 민생 안정을 위한 농업 혁신과 교육 확산에 주력하였다. 관직생활 중에는 청렴한 관리로 이름을 떨치며 과중한 세금 부담을 줄이고 토지 제도의 개혁에 앞장섰다. 그가 남긴 시문들은 후대에까지 전해지며 조선 후기 문학의 중요한 유산이 되었으며 그의 사상은 조선 후기 실학 사상에 기여하며 불안한 시대 속에서도 조선 사회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등불이 되었다.


대표업적:

조선 중·후기에 활약한 역사적 인물로써 예(禮)의 중요성과 가례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소명되는 인물이다.

#이천상 #조선시대 #성리학 #유교전통 #가례연구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