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자신의 가설이나 예상이 맞음을 입증하는 방식으로만 실험·검증을 수행하고, 이를 반박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는 인지적 편향.
설명 :
확증편향은 과학적 탐구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연구자가 가설을 입증하는 실험만 고안하고, 반증 실험을 배제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는 객관적 검증을 저해하며 잘못된 결론을 강화할 수 있다.
용례 :
신약의 효능을 검증하는 연구자가 약효가 있는 사례만 집중적으로 기록하고, 효과가 없음을 보여줄 수 있는 대조군 실험은 무시하는 경우.
관련 지표 또는 개념 :
가설 검증, 반증 가능성, 과학적 방법론, 확인편향
적용 분야 :
실험 심리학, 과학철학, 연구 방법론
관련 기관 또는 규제 :
학술 연구기관,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RB)
이칭(alias) :
동조 편향, 일치 편향
출처 :
Wason, P. C. (1960). On the failure to eliminate hypotheses in a conceptual task.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2(3), 129–140.
관련 용어 :
#가설검증 #반증결여 #연구방법론 #실험심리학 #과학적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