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대

2025-08-06 18:45 (1) (0)
개념 및 용어

정의:

공공의대는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설립한 의과대학을 의미합니다.


설명:

공공의대는 주로 지역사회와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대학은 공공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생들에게 공공의료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경험과 교육을 제공합니다. 공공의대는 일반 의과대학과 달리, 졸업 후 일정 기간 동안 공공의료 분야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하는 조건을 부과하기도 합니다. 이는 의료 인력이 부족한 지역이나 분야에 인력을 공급하는 데 기여합니다. 공공의대는 또한 정부의 정책과 연계하여 공공보건 및 예방의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적 보건 위기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보건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의료 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용례:

공공의대 졸업생은 졸업 후 5년간 공공의료기관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한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공공보건, 의료 인력 부족, 지역사회 건강


적용 분야:

의료 교육, 공공보건, 지역사회 의료 서비스


관련 기관 또는 규제:

보건복지부, 지역 보건소, 공공의료기관


이칭(alias):

공공의료대학, 공립의대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정책 자료

#공공의대 #공공의료 #의료인력양성 #지역사회건강 #보건정책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