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94년~1669년
개요:
이회보(1594년부터 1669년까지 생존)는 조선 중기에 활동한 문관이자 문신으로 국가 행정과 문무 업무에 종사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이회보는 조선 후기 한문학을 중심으로 활동한 문인으로 사대부 가문에서 성장하며 당대의 성리학적 학풍 속에서 시문과 글 모음집을 남겼다.
사상 및 철학:
그는 성리학적 수양을 근간으로 자연과 인간의 정서를 한시 형식에 담아내는 데 주력하며 품격 있는 문장미를 추구하였다.
이칭:
석병
참고정보: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民族文化推進會) 200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naver.com
생애:
이회보는 1594년에 조선 중기의 평범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여 마을 서재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병자호란 시기에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의병에 합류 전투에서 용맹함을 발휘하였다. 전쟁 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농업에 헌신하며 개혁적인 농법을 도입하여 마을의 수확량 증대에 기여하였다. 그는 농업 기술의 혁신뿐만 아니라 양반과 상민 간의 갈등을 조정하며 지역 사회의 평화 유지를 도왔다. 또한 어린이들의 교육에도 힘써 개인적으로 서당을 세워 미래 세대를 위한 배움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지역 사회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1669년 노환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 영향력은 이어졌다. 그의 삶은 강인한 정신력과 공동체에 대한 깊은 헌신을 보여주며 후세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대표업적:
이회보는 성리학적 수양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정서를 한시 형식에 담아내었으며 품격 있는 문장미를 추구한 저술가로서 그의 작품은 조선 후기 문학의 중요한 산출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