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왕

2025-08-06 18:44 (2) (0)
인물

생몰년:

1330년 ~ 1374년


개요:

공민왕은 1330년에 태어나 1374년에 세상을 떠난 고려 제31대 국왕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그는 14세기 중반 원 간섭으로 국력이 쇠퇴한 고려에서 즉위해 원나라의 영향력을 축소하고 권문세족을 견제하는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왕권 회복과 국가 자주성을 강화하려는 정치·군사적 노력을 전개하였다.


사상 및 철학: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지향하며 유교적 명분과 불교적 신앙을 토대로 민생 안정과 자주적 통치를 추구하였다.


이칭:

강릉부원대군 ᠪᠠᠢᠠᠨᠲᠥᠮᠥᠷ 왕기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 백안첩목아 Bayan Temür 강릉대군 익당 이재 바얀 테무르 왕전


참고정보:

공민왕 (파랑새어린이) 200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생애:

공민왕(1330년~1374년)은 고려 시대의 제31대 왕으로 그의 치세는 격변의 시기를 상징한다. 어린 시절부터 원나라에 머무르며 정치적 감각을 키웠고 후에 고려에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즉위한 후 그는 몽골의 간섭을 타파하고 국가의 자주성을 되찾기 위해 힘썼다. 특히 친원 세력의 제거와 신돈의 등용을 통해 개혁을 추진하며 국내 정치를 안정시키려 노력했다. 또한 신분제도를 재조정하고 과거 제도를 개편하여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였다. 그러나 그의 재위 말년 권문세족의 반발과 외세의 압박 속에 격렬한 정치적 갈등에 휩싸였다. 결국 1374년 왕은 불행히도 반대파에 의해 암살되었으나 그의 혁신적 정책은 후일 조선 건국의 밑거름이 되었다. 공민왕의 생애는 자주와 혁신을 향한 왕의 의지와 그 어려움을 시대 속에 깊이 새긴 시간이었으며 고려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남았다.


대표업적:

왕권 강화와 국가 자주성 강화를 위해 권문세족을 견제하고 중앙 집권을 추진한 공민왕

#왕권회복 #국가자주성 #중앙집권 #유교 #불교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