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
일라이자 효과는 사람들이 실제로는 단순한 알고리즘이나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간처럼 지능적이거나 감정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언어나 반응이 인간적인 것처럼 보일 때 특히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 개념은 초기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 ‘일라이자(ELIZA)’의 실험에서 유래하였으며, 인간이 기술에 의미를 과잉 부여하는 인지적 경향을 보여줍니다.
용례 :
사용자가 챗봇의 자동 응답에 위로받거나, 단순한 명령어 반응을 보이는 로봇에게도 감정을 느끼는 경우 일라이자 효과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인지 과학
투사(projection) 이론
튜링 테스트
적용 분야 :
인공지능 서비스 설계
감성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
로보틱스 사용자 경험 디자인
디지털 치료 도구
관련 기관 또는 규제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연구기관(HCII)
AI 윤리 관련 비영리 단체
EU AI Act 등 윤리적 설계 규정
이칭(alias) :
기계 인격화 효과
인간화 오류
감정 투영 효과
출처 :
Weizenbaum, J. (1966). ELIZA — A Computer Program For the Study of Natural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Mach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MIT AI Laboratory.
#일라이자효과 #감정투영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