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64-1597
개요:
이의윤은 1564년에 태어나 1597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글을 창작하며 학문에 힘쓴 작가였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의 사족 가문에서 태어나 성리학적 학문 풍토 속에서 학문과 문필 활동을 이어갔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의 도덕 원리를 중시하며 인·의·예·지를 실천하려 했고 문학을 통해 수양과 교화의 가치를 드러냈다.
이칭:
李 수연 무첨당
참고정보:
(국역) 무첨당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3 위키백과 http://www.wikipedia.org
생애:
이의윤은 1564년에 조선 중기의 경기도 개경 근처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부모님은 농사를 짓는 평범한 집안이었으나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과거 준비를 시작했다. 1584년에 향시에 합격한 그는 서울로 올라가 대과를 준비했으며 1588년에 마침내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종의 통치가 끝나고 조선이 임진왜란의 혼란 속으로 빠져들 무렵 그는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전라좌수사로 임명되어 지역 방어 조직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전투 중 용맹을 떨쳐 나라 안팎에서 명성을 쌓았으며 조선 수군의 협력 구조를 크게 개선했다. 이는 후일 이순신과 협력하여 임진왜란의 국난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전쟁의 여파로 쇠약해져 1597년에 끝내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죽음은 많은 이들에게 안타까움을 안겼고 이후 그의 업적은 조선의 역사에 긴 여운으로 남게 되었다.
대표업적:
성리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인·의·예·지에 대한 철학을 품은 저술 활동을 전개한 것이 그의 대표업적이다.
#이의윤 #조선중기 #성리학 #인의예지 #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