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629년 출생 1703년 사망
개요:
조선 후기의 유학자로서 성리학 연구와 학문적 저술에 힘쓴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7세기 후반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했으며 당파 갈등이 거세던 시대에 성리학자이자 관료로 두각을 나타냈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기반으로 현실 정치의 개혁과 사회 윤리에 깊은 관심을 보인 실천적 사상가였다.
이칭:
서계 서계초수 문절 잠수 계긍
참고정보:
생애:
박세당은 1629년 조선 중기 경기도에서 태어났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목격하며 젊은 시절을 보내면서 조선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품게 되었다. 그는 학문에 매진하여 유학과 실학을 깊이 연구하고 특히 성리학에 심취하였다. 박세당은 그동안의 배움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적 자세를 견지하였으며 스승인 송상현의 영향을 받아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을 발전시켰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색경'은 농업의 혁신과 민생안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양반 계층의 권위주의를 비판하고 서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조선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자 노력하였다. 1703년 그는 생을 마감했으나 그의 사상은 후대에 귀감이 되었고 본인의 평생 연구와 노력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는 커다란 유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업적:
조선 후기 성리학 연구자로서 현실 정치의 개혁과 사회 윤리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주목받았으며 조선 후기의 당파 갈등 속에서 선방함을 보였다.
#성리학 연구자 #조선 후기 #사회 윤리 #현실 정치 개혁 #남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