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576~1643
개요:
신활(申活 1576년부터 1643년까지)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문신으로 문관으로서 조정에서 정무를 담당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인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한문학 창작에 힘쓰며 동료 문인들과 교유한 사대부 출신 학자였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바탕으로 시문을 통해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전통 유교적 세계관을 지녔다.
이칭:
죽로
참고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民族文化推進會) 2006
생애:
신활은 1576년에 조선 중기의 부유한 양반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을 깊이 익히며 재능을 보였고 성균관에 입학하여 유림의 기대를 받았다.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그는 겨우 17세였으나 고향에서 의병을 조직해 전투에 참여하며 탁월한 전략가로서의 면모를 드러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국토 재건에 힘쓰며 민중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지도자로 자리 잡았다. 신활은 학문적 열정도 식지 않아 1600년대 초 왕명으로 편찬된 여러 역사서와 지리지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뛰어난 문장가로서 '조선 팔경'이라는 시집을 집필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며 후손들에게 많은 귀감을 남겼다. 1643년 그의 나이 67세에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는 학문과 국가에 대한 열정 가득한 삶을 살았다.
대표업적:
성리학을 바탕으로 시문을 통해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전통 유교적 세계관을 지녔다.
#신활 #성리학 #조선중기 #한문학 #유교적세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