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206년 출생 1289년 사망
개요:
고려 시대에 승려로서 수행하면서 역사 연구와 저술로도 이름을 알린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3세기 고려 후기 경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로 불교 교단의 재건과 민족문화의 전승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불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국 고대사의 설화와 구전 자료를 집대성해 민족 정체성을 강조했으며 실천적 수행과 포용적 역사 인식을 중시하였다.
이칭:
전견명 Iryon 석일연 무극 목암 Iryeon 회연 견명 보각국사 보각
참고정보:
한국문학번역원(LTI) https://library.ltikorea.or.kr/writer/20097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다음 인물백과 http://100.daum.net 삼국유사 (민음사) 2008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naver.com
생애:
고려 시대의 승려인 일연(1206-1289)은 흥미로운 생애를 통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기억된다. 그는 고려 중기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출가하여 불도에 심취했다. 그의 사상적 깊이는 여러 군현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경험을 쌓은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불교 경전에 대한 깊은 이해는 그를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거듭나게 했다. 일연은 특히 한국사의 귀중한 기록물인 '삼국유사'를 집필함으로써 역사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이 책은 당시 왕조와 정치 체계를 초월하여 신화와 전설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후대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의 삶은 단순한 승려의 경계를 넘어선 명상이자 고려 시대 인문학의 정수라 할 수 있다.
대표업적:
불교 교단의 재건과 민족문화의 전승에 기여하고 한국 고대사를 집대성한 저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