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
1892년~1980년
개요:
운허는 1892년에 태어나 1980년에 세상을 떠난 인물로 불교 승려이면서 교육에 힘썼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이후 불경 번역에도 큰 공을 세운 사람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20세기 전반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가하여 해방 이후 불교계의 교육과 경전 번역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불교 경전 번역과 대중교육을 통해 한국 불교의 현대화에 기여하려는 실천적 비전을 지녔다.
이칭:
이시열 李 龍 耘虛龍 용하 운허용하 이운허 이학수 운허 스님 박용하
참고정보:
가상국제전거파일(VIAF) http://viaf.org 불교의 깨묵 (法寶院) 2012
생애:
운허는 1892년에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나 한국 불교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학자이자 승려였다.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격변기를 거치며 그는 불교의 철학적 깊이를 탐구하고 전파하는 데 몰두하였다.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그는 어릴 적부터 불교에 심취하여 1910년대에 일본으로 건너가 동양철학을 배웠다. 이후 귀국하여 한국 불교의 세계화를 위해 힘썼고 1920년대에는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민족의 정신적 지주로서 역할을 다했다. 특히 그는 불교 경전의 번역과 주석 작업을 통해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하며 한국 불교의 현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업적은 단순 학문에 그치지 않고 불교 사찰의 개혁과 교육에도 이바지하여 수많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운허는 1980년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나 그의 유산은 여전히 한국 불교 전반에 깊이 남아 있다.
대표업적:
한국 불교의 현대화를 위해 불교 경전 번역과 대중교육에 노력한 것이 운허의 대표적인 업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