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2025-08-06 18:44 (1) (0)
인물

생몰년:

1876년에 태어나 1914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한글 연구와 보급에 헌신한 국어학자로 근대 국어학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활동한 그는 황해북도 봉산군 출신으로 국권 상실기의 혼란 속에서 우리말의 체계화를 위해 힘썼다.


사상 및 철학:

한국어의 과학적 연구와 한글 표준화·보급이 민족 자존의 기초라는 신념을 지녔다.


이칭:

Hanhinsaem 한힌샘 Hanhuinme Baekcheon 상호 태백산 한흰메 백천


참고정보:

쉽게 풀이한 주시경의 국어문법 (월인) 2016


생애:

주시경은 1876년에 조선 말기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에 뛰어났던 그는 개화기의 물결 속에서 신학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경신학교와 배재학당에서 근대 교육을 받았다. 그의 학문적 여정은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20세기 초 국문 연구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한국어의 체계적인 연구와 교육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당시 척박한 언어 환경 속에서도 국문법을 체계화하고 한글 맞춤법의 기틀을 마련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특히 1908년 '국어문법'을 발간하여 언어 규범화에 기여하였으며 이는 이후 한국어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1914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는 한국어의 위신을 드높이기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어의 발전과 계몽에 일생을 바친 언어학자로 남아 있다.


대표업적:

한글 연구와 보급에 헌신한 국어학자로 근대 국어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한글연구 #한국어학자 #국어학 #근대국어학 #한글표준화

revision 정보

(더보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