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선택

아래 항목에서 적합한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개념 및 용어
최소 100자 ~ 최대 3,000자 이내로 작성해 주세요.

정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개인의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부채의 원리금 상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설명:

DSR은 개인이 부담하는 모든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개인의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지표는 주로 금융기관이 대출 심사를 할 때 차주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DSR이 높을수록 차입자의 부채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대출 상환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기관은 DSR을 통해 차입자의 부채 상환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대출 한도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DSR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자동차 대출 등 모든 종류의 부채를 포함하며, 대출 심사 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최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DSR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또한, DSR은 가계의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용례:

A씨는 연 소득 5천만 원에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이 2천만 원이므로 DSR은 40%입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LTV(주택담보대출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적용 분야:

금융, 대출 심사, 가계 재정 관리


관련 기관 또는 규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이칭(alias):

총부채상환비율, Debt Service Ratio


출처: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태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