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606-1672
개요:
홍주원은 1606년에 태어나 1672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학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그는 17세기 조선 중기에 활동한 학자로 공주 정명공주의 부마로서 궁중과 사대부 사회를 오가며 학문과 정치 경험을 쌓았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토대로 한문학과 한국사 연구에 매진하며 왕실과 사대부의 도덕적 규범과 역사의식을 중시하였다.
이칭:
건중 무하당 문의 무하옹
참고정보:
(영안위 홍주원 정명공주의) 무하당시문집 (민속원) 2017
생애:
홍주원은 1606년에 조선 중기의 한양에서 태어났다. 명문가의 자손으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대한 열정이 뛰어났고 15세에 과거 시험에 응시하여 장원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후 선조의 칭송 속에 관직에 올랐으며 특히 정책 입안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가 집필한 '정치문집'은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짚어내며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시인으로서도 두각을 나타낸 그는 자연을 예찬하는 시들을 지어 학문적 예술적 감각을 모두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1672년 66세 나이에 병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작품과 사상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도 수많은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삶은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학문과 정치의 길을 안내하는 등불과도 같았다.
대표업적:
성리학을 토대로 한문학과 한국사 연구 도덕적 규범과 역사의식 중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