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다중공급망은 여러 공급업체로부터 자원을 조달하여 공급망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설명:
다중공급망은 기업이 단일 공급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공급업체로부터 자재나 제품을 조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급망의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특정 공급업체의 문제로 인한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중공급망 전략은 공급업체의 지리적 위치, 생산 능력, 품질 관리, 비용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급업체 조합을 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공급망의 유연성을 높이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연재해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특정 지역의 공급망이 마비될 경우, 다른 지역의 공급업체를 통해 신속하게 자원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다중공급망은 또한 협상력을 높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도 기여합니다. 그러나 여러 공급업체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기업은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용례: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업체는 다중공급망을 통해 부품을 조달하여 생산 중단 위험을 줄였습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공급망 유연성, 공급망 리스크 관리, 공급업체 관리
적용 분야:
제조업, 유통업, 정보기술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
관련 기관 또는 규제:
국제표준화기구(ISO), 세계무역기구(WTO)
이칭(alias):
멀티소싱, 다원적 공급망
출처:
공급망 관리 전문 서적 및 학술 논문, 산업별 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