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방법론명:
로우코드개발
유형:
프로젝트 및 방법론
개요:
로우코드개발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 작성의 비중을 줄이고 시각적 인터페이스와 설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추진/개발 주체:
다양한 IT 기업과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공업체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추진 시기:
201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적용 분야:
기업의 내부 시스템 개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핵심 내용 및 구성:
로우코드개발은 개발자가 복잡한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시각적 도구와 설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속도를 향상시키고, 비전문가도 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로우코드 플랫폼은 주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UI, 자동화된 백엔드 프로세스, 데이터베이스 연결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개발자가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로우코드개발은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여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히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애자일 개발 환경에서 유용하며, IT 부서의 부담을 줄이고, 비즈니스 부서와의 협업을 강화합니다.
성과 및 영향:
로우코드개발은 개발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개발 비용을 절감하며, IT 인력 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관련 사례:
대기업의 내부 시스템 구축, 스타트업의 빠른 프로토타입 개발 등에서 로우코드개발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칭(alias):
Low-Code Development
참고 정보:
가트너, 포레스터 등의 리서치 기관에서 로우코드개발의 시장 동향과 전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