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664년~1743년
개요:
이수귀는 1664년에 태어나 1743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어의로 왕실 의료를 담당한 의사였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생애와 활동 시기에 대한 구체적 기록은 전하지 않지만 한국 전통 의학의 전승과 연구에 힘쓴 한의학자로 추정된다.
사상 및 철학:
한의학의 이론과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인체의 조화와 예방적 치료를 중시하였다.
이칭:
李壽龜zh
참고정보:
역시만필 (들녘) 2015
생애:
이수귀(1664~1743)는 조선 중기에서 후기까지 활동한 인물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냈다. 그는 한양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부터 유학에 열중하였으며 성리학에 깊은 조예를 보였다. 20대 초반 과거 시험에 합격한 후 관직에 올랐고 주로 정치와 교육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1710년대에 이르러 관리로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실 및 사대부들에게 높은 신망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정 내에서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와 동시에 지역 사회에서는 교육 진흥을 위해 서원을 설립하고 젊은 학자들을 후원하는 데 힘썼다. 1720년대에는 북방의 위협이 커지자 국방 강화에 기여하였으며 인재를 양성하여 나라의 기틀을 훌륭히 다졌다. 그의 생애는 학문과 정치 교육 모든 면에서 후세에 귀감이 되었고 노년에 이르러서는 후학 교육에 전념하며 여생을 보냈다. 1743년 많은 이들에게 존경을 받으며 조용히 생을 마감하였다.
대표업적:
한의학의 전승과 연구에 기여한 한의학자로서 왕실 의료를 책임지며 인체의 조화를 중시한 점이 두드러진 업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