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정보보호 정책은 조직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규칙과 절차를 명시한 문서입니다.
설명:
정보보호 정책은 조직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이는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과 절차를 포함합니다. 정보보호 정책은 조직의 목표와 정보보호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작성되며, 모든 직원이 준수해야 할 지침을 제공합니다. 정책은 정보 자산의 분류, 접근 통제, 데이터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사고 대응 절차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보보호 정책은 정기적으로 검토 및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조직의 변화하는 환경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정보보호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고, 법적 및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정보보호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보보호 정책은 경영진의 지지를 받아야 하며, 모든 구성원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적용 사례 또는 판례:
대기업 A사는 정보보호 정책을 통해 고객 데이터 유출 사고를 예방하고, 법적 책임을 최소화하였습니다.
관련 법령/조항: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관련 개념:
정보보안,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소관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이칭(alias):
정보보안 정책, 보안 정책.
참고 문헌:
ISO/IEC 27001 정보보호 관리체계 표준, NIST 사이버 보안 프레임워크.
표준명: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기준.
표준 번호:
KISA-ISMS-001.
제정 기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표준 유형:
국가 표준.
제정 및 개정 연도:
2013년 제정, 2020년 개정.
정의 및 목적: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는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적용 범위:
모든 산업 분야의 조직이 정보보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요 내용 및 구성:
정보보호 정책 수립, 위험 평가, 보호 대책 구현, 모니터링 및 개선 절차를 포함합니다.
이행 및 인증:
ISMS 인증은 KISA에서 제공하며, 조직의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표준에 부합함을 인증합니다.
이칭(alias):
ISMS 인증 기준.
참고 정보:
ISMS 인증은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국제 표준인 ISO/IEC 27001과 유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