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754-1833
개요:
이헌순은 1754년에 태어나 1833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작가이자 문인으로 한국 역사 속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유학이 지역 사회에서 여전히 중심 사상이던 시기에 향촌 선비로서 학문과 교육에 힘쓴 것으로 전해진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적 전통을 기반으로 한 도덕 수양과 실천을 강조하며 한국 철학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이칭:
학선 李獻淳 구은 衢隱 學先
참고정보:
척념무첨 (眞城李氏上溪派門中運營會) 2017 네이버 http://www.naver.com/
생애:
이헌순(1754-1833)은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정치와 학문에서 다채로운 삶을 누렸다.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한 그는 명문가의 자제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사서삼경과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20대에는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조정에서 탁월한 정책 제안으로 명성을 얻어 중용되었다. 그러나 개혁적인 성향 때문에 몇 차례의 좌천을 겪기도 하였다. 1797년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했을 때는 농업 개혁에 힘쓰며 민생 안정을 도모했다.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여 당시의 학문과 사상을 종합한 '헌순집'을 남겼다. 그의 글은 단순한 학문적 논평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과 개혁의 의지를 드러내어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일생 동안 홍익인간과 실사구시의 정신을 구현하고자 했던 그는 오늘날까지도 인류애와 진보적 사고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대표업적:
성리학적 전통에 기반을 두고 한국 철학 발전에 기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