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김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으로 독립운동과 민족 통일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다.
설명:
1876년 황해도 해주 출생. 동학농민운동과 의병 활동을 거쳐, 을사늑약 이후 본격적으로 항일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요인 암살 사건 등 격동의 정국을 통과하며 임시정부 주석으로 활동하였다. 광복 후에도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남북협상’ 등을 시도했으나 좌우 대립이 심화된 가운데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되었다. 민족 지도자로서 상징성이 높고, 현재도 추모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생몰년:
1876년 8월 29일 출생 – 1949년 6월 26일 사망
활동 시기와 활동 배경:
일제강점기와 광복 직후 혼란기, 독립운동과 민족통일운동 중심
소속:
대한독립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독립당
대표 업적:
임시정부 주석 역임, 독립운동 전개, 백범일지 저술, 6.15 남북협상 시도
사상 및 철학:
민족자주, 비폭력 통일, 민권 강조, 평화적 민족주의
이칭:
백범, Kim Koo, 선생님, 독립운동가 김구
참고 정보:
김구기념사업회
출처:
『백범일지』,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