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677년에 태어나 1727년에 세상을 떠남
개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학자로 역사 인물 가운데 위인으로 평가받는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이간(李柬 1677~1727)은 조선 후기 숙종·경종 때 남인 계열로 관직에 나아가 학문과 정치를 병행했으며 치열한 당론과 학설 논쟁 속에서 여러 차례 유배 생활을 겪었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토대로 하면서도 경험과 현실 문제를 중시해 실학적 경향을 보였고 주자학의 경직성을 비판하며 학문은 시대와 삶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칭:
문정 공거 추월헌 외암 Lee Gan
참고정보:
두산백과 www.doopedia.co.kr/
생애:
이간은 1677년에 태어나 1727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후기의 문인이며 사상가였다. 그의 생애는 정치적 격변과 사회 변화의 시기를 관통하며 이장하였다. 세도 정치가 번성하던 시기 이간은 청렴한 관직 생활을 통해 백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그는 학문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다양한 철학적 사상에 심취하였다. 특히 주자학을 깊이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문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 한양에서 여러 학자와 교류하며 학문적 토론을 통해 사상적 깊이를 더해갔다. 그가 저술한 여러 책들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민본주의를 강조한 그의 사상은 이후 조선의 성리학 발달에 중요한 토대를 놓았다. 또한 그는 교육에도 힘써 제자들을 양성하였고 그의 제자들은 조선의 정치·문화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이간의 업적은 그의 죽음 이후에도 길이 기억되며 조선의 지식 기반 형성에 기여하였다.
대표업적:
성리학 기반의 실학적 지향 주자학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