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712년에 태어나 1781년에 사망하였다
개요:
신경준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활동한 학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인 18세기에 전라북도 순창을 중심으로 학문과 저술 활동을 펼쳤다.
사상 및 철학:
훈민정음의 음운을 체계적으로 해석하며 한글 연구와 한국 문학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칭:
순민여암舜民旅庵申景濬
참고정보:
訓民正音韻解刊寫자 미상刊寫년 미상
생애:
신경준은 1712년에 조선의 수도 한양에서 태어났다. 그의 탄생은 당시 사회가 서서히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던 시기였다. 신경준은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학문적 재능을 보이며 유교 경전을 탐독하였고 성균관에 입학 조선 학문의 요람에서 본격적으로 수학했다. 18세기에 접어들면서 조선은 내부적으로는 탕평책을 시행하며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고 있었지만 외부적으로는 서세동점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그는 학문과 실용적 가치를 조화롭게 이어나가는 데 주력하였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는 농업 개혁을 비롯한 실질적인 사회 발전에 관심을 가지며 백성의 생활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781년 신경준은 여러 학문적 업적과 사회 개혁의 의지를 남기고 한양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는 죽었지만 그의 사상은 후대에도 두고두고 영향을 미쳤다.
대표업적: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적 해석과 한글 연구 한국 문학 발전 중요성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