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방법론명:
유니버설디자인
유형:
프로젝트 및 방법론
개요: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물, 환경 등을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추진/개발 주체:
론 메이스(Ron Mace)와 그의 팀에 의해 처음 개념화되었습니다.
추진 시기:
1980년대 초반부터 개념이 발전하였습니다.
적용 분야:
건축, 제품 디자인, 정보통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핵심 내용 및 구성:
유니버설디자인은 접근성, 이해 용이성, 유연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7가지 원칙으로 구성되며, 공정한 사용, 융통성 있는 사용,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정보의 인지 용이성, 오류에 대한 관용, 적은 신체적 노력, 접근과 사용을 위한 적절한 크기와 공간을 포함합니다.
성과 및 영향: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여 사회적 포용성을 높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평등을 증진시키고,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관련 사례: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경사로,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는 공공 안내 시스템 등이 유니버설디자인의 사례입니다.
이칭(alias):
범용설계, 포괄적 설계
참고 정보:
유니버설디자인은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관련 연구와 사례는 다양한 학술지와 전문 서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명: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이 차별 없이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접근 방식으로, 1980년대 초반 론 메이스와 그의 팀에 의해 개념화되었습니다. 이 방법론은 건축, 제품 디자인, 정보통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접근성, 이해 용이성, 유연성,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7가지 원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공정한 사용, 융통성 있는 사용,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정보의 인지 용이성, 오류에 대한 관용, 적은 신체적 노력, 접근과 사용을 위한 적절한 크기와 공간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여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고, 사회적 평등을 증진시키며,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유니버설디자인의 사례로는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경사로,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는 공공 안내 시스템 등이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와 사례는 다양한 학술지와 전문 서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