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710-1776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1710년에 태어나 1776년에 세상을 떠났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정산 이병휴는 조선 후기의 사대부이자 학자로 성리학이 지배적이던 시대에 문학과 경학을 아우르며 학문적 명성을 쌓았다.
사상 및 철학:
그는 성리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의 도리를 되새기고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했으며 한시를 통해 도학적 사유를 예술적으로 구현했다.
이칭:
정산 李
참고정보:
정산 이병휴의 시와 철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사람의무늬) 2013
생애:
조선 후기의 학자 이병휴는 1710년에 한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여 다양한 학문에 두루 능통했다. 그의 집안은 문풍을 중시하는 양반가로 이병휴는 유교 사상과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며 성장했다. 청나라와의 교류가 빈번하던 시대적 배경 속에서 그는 중국의 선진 문물을 탐구하며 동시에 조선의 토착적 사고와 문화를 지키려 노력하였다.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른 후 그는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중립을 지키며 백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데 힘썼다. 특히 경제적 안정을 위해 농업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데 주력하였다. 한편 이병휴는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학문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고 말년에는 교육과 저술 활동에 전념하여 1776년 생을 마감하였다. 그의 업적은 후세에 영향을 미쳐 조선 후기 학문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업적:
조선 후기의 사대부 및 학자로 활동하며 성리학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도리와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철학을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