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방법론명:
시맨틱웹
유형:
프로젝트 및 방법론
개요:
시맨틱웹은 웹 상의 정보를 기계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기술 및 방법론입니다.
추진/개발 주체: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추진 시기: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적용 분야:
정보 검색, 데이터 통합, 인공지능, 지식 관리 등
핵심 내용 및 구성:
시맨틱웹은 웹 문서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하여 기계가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위해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OWL(Web Ontology Language), SPARQL(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등의 기술을 사용합니다. RDF는 데이터를 주제-술어-객체의 형태로 표현하며, OWL은 복잡한 관계와 규칙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SPARQL은 RDF 데이터를 질의하고 조작하는 언어로, 시맨틱웹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웹 상의 데이터를 연결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인간과 기계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성과 및 영향:
시맨틱웹은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정보 검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통합과 분석이 용이해졌습니다.
관련 사례:
DBpedia, Linked Open Data 프로젝트, 시리(Siri)와 같은 인공지능 비서
이칭(alias):
의미론적 웹
참고 정보:
시맨틱웹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3C의 공식 문서와 관련 연구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