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322-1408
개요:
권중화(1322년~1408년)는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활동한 인물로 의료 분야에 몸담았으며 동시에 관직에 올라 문신과 문관으로 국가에 봉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그는 고려 고종 치세인 13세기 전반에 활동한 한의사로 왕명에 따라 향약 의서를 편찬하며 자생 약재를 체계화해 민중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다.
사상 및 철학:
권중화는 실용적 의술과 인술을 중시해 토착 약재 활용과 백성 구제를 강조했으며 유교적 생명 존중 사상을 의료 현장에 구현하고자 했다.
이칭:
동고 문절 용부
참고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3
생애:
권중화(1322-1408)는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한 인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학식과 정치적 역량을 바탕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천재성을 보여 학문에 두각을 드러냈다. 만 16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며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곧 정치계의 중심 인물로 발돋움했다. 1368년 원나라가 힘을 잃고 명나라가 급부상하면서 고려 역시 새로운 질서 속에서의 자리를 모색하고 있었다. 권중화는 이 시기에 왕권 강화와 개혁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조언자로 활동하며 민생 안정과 통합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 건국 후에는 태조 이성계를 보좌하며 새로운 국가 체제의 기틀을 마련하고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그의 사후 관료사회에서는 그를 덕망 높은 인물로 기억하며 조선 건국의 초석을 닦은 공로자로 평가했다.
대표업적:
왕명에 따라 향약 의서를 집필하고 자생 약재를 체계화해 민중의 치료 접근성을 높였으며 실용적 의술과 인술을 중시하며 국민 건강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